[뉴스 따라잡기] 사망 판정 60대, 영안실서 극적 회생 / KBS뉴스(News)
기자 멘트
의사로부터 사망판정을 받은 60대 남성이 병원 영안실에서 다시 깨어나는 믿기 힘든 일이 일어났습니다.
이 남성은 현재 의식을 회복하고, 능숙하지는 않지만, 자신의 이름도 말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
몸이 굳고, 심장이 완전히 정지돼 숨진 것으로 판정됐던 이 남성이, 어떻게 다시 의식을 회복할 수 있었던 걸까요?
오늘 뉴스따라잡기는 죽음의 문턱에서 다시 돌아 온 한 60대 남성의 기적같은 이야기를 따라가 봤습니다.
리포트
지난 18일 오후 2시 쯤.
부산의 한 119 안전센터로 다급한 신고 전화가 걸려옵니다.
녹취 김경한(소방교/사하소방서 괴정119 안전센터) : “일단 좀 위급한 사람이 있으니까 빨리 출동하라고 해서 일단 그 위치로 빨리 출동을 한 거죠.”
전화가 온 건 부산시 사하구의 한 주택가.
홀로 사는 60대 남성이 의식을 잃은채 쓰러져 있다는 신고였습니다.
인터뷰 김석규(신고자) : “처음엔 숨진 줄 알았어요. 그랬는데 보니까 배만 올라갔다가 내려갔다가 해서 ‘아 이분이 아직 살아있구나.’ 싶어서.“
출동한 119대원들이 집 안으로 들어가자 바닥에 쓰러져 있는 60대 남성이 눈에 들어옵니다.
환자의 상태는 한 눈에 보기에도 심상치 않았습니다.
녹취 김경한(소방교/사하소방서 괴정119안전센터) : “동공 반응이 없었고 저체온증이 있었 고요. 맥박이나 이런 호흡, 이런 게 솔직히 불가능해서 저희가 빨리 이제 구급차로 이송한 다음에 병원으로 이송했죠. 심폐소생술을 실시 하면서요.“
의식을 잃은 환자는 이 집에서 홀로 살던 64살 변모 씨.
인터뷰 김석규(신고자) : “보니까 불이 안 켜져 있더라고요. (그래서) 내가 그 날 한 번 올라와 본 거죠. 불을 못 켜고 있었다는 건 뭔가 모르게 몸이 약하거나 불을 켤 수 없는 어떤 문제가 있지 않나 싶어서 왔더니만 그렇게 누워 있었어요.”
녹취 이웃주민 : “저번에도 한 번 넘어 졌었거든요. 쓰러져서 119 부르고. 술을 많이 잡수셔서요.”
그렇게 이웃주민의 관심 덕에, 구급대원들에게 인계될 수 있었된 변 씨.
변 씨는 심폐소생술을 받으며, 근처에 있는 대학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.
하지만, 응급실에 도착해서도, 변 씨의 상태는 좋아지지 않았습니다.
호흡은 물론, 맥박마저 감지되지 않았다고 하는데요
녹취 대학병원 관계자 : “심정지 상태가 15분 동안 지속됐고 우리가 CPR이라고 해서 심폐소생술을 했죠. 그다음에 심전도기를 통해서 관찰을 계속 하는 거죠. (거기에서) 심박동이 정지된 거죠.”
수 십분 동안 계속된 심폐소생술.
하지만, 이 씨의 심장은 다시 뛰지 않았습니다.
결국 당직 의사는 사망 판정을 내립니다.
녹취 대학병원 관계자 : “심정지 상태라든지 동공, 호흡 여러 가지 관찰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의사가 판단을 (한 거죠.)“
의학적으로 사망 판정을 받은 변 씨는 영안실로 옮겨졌습니다.
그리고 40여 분 뒤, 경찰이 사인 조사를 위해, 영안실에 도착합니다.
인터뷰 김윤태(형사과장/부산사하경찰서) : “미약한 자연사라든지 병사가 미약하지 않으면 경찰에 신고하게 되어 있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저희가 출동을 합니다. 그래서 저희가 검시하고 그걸 토대로 해서 사체를 유족에게 인도하든지 (합니다.)”
경찰관과 검안의는 싸늘한 시신을 덮고 있던 흰 천을 벗겼습니다.
그리고는 사진을 찍기 위해 얼굴쪽으로 천천히 다가갔습니다.
그런데, 경찰관의 눈 앞에 상상하기 조차 힘든 일이 벌어집니다.
인터뷰 김윤태(형사과장/부산사하경찰서) : “사진을 찍으려고 딱 보니까 목젖이 움직이고 눈이 떠 있는 상태에서 눈동자가 약간 움직인 겁니다.”
경찰관은 자신의 눈을 의심했습니다.
분명 사망 판정이 내려진 시신.
하지만, 목젖과 눈동자가 움직이는가 하면, 조금씩 숨까지 쉬는게 눈 앞에서 확인이 됩니다.
놀라움과 공포도 잠시.
경찰은 뭔가가 잘못되고 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.
녹취 김윤태(형사과장/부산사하경찰서) : “'아, 이거 이상하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