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파묘 #무속인 #무속신앙
※ 이 영상은 2015년 6월 3일에 방송되었습니다.
※ 썸네일 이미지 출처 : 영화 '파묘', 쇼박스 제공
우리 민족의 원시종교로 불릴 만큼 긴 역사를 가지고 있는 무속신앙은
고조선 이래로 우리 민족과 함께 해 오면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모해왔고
시대마다 다른 의미를 지닌 종교이자 우리 문화의 뿌리가 되었습니다.
긴 시간 우리 민족의 뿌리 깊숙이 박힌 무속은
핍박과 천대 속에서도 우리 민족의 신앙이었고 오늘날까지 그 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.
시대의 변화 속에서도 왜 사람들은 무속신앙을 믿고 의지하는 걸까요?
오늘은 민중의 삶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무속신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01:10 l 💃🏼서울 정릉에서 벌어진 진적굿
05:40 l 🤝우리 민족의 민속문화를 이어오는 무속신앙의 의미
06:58 l 🌀무속신앙과 샤머니즘: 역사와 한국의 특징
11:02 l 👻무당의 대표적인 기능
12:27 l 🎨무속 탱화의 역사
15:59 l 🌸한국 무속에서 꽃의 중요성
19:24 l 🏯과거 사람들이 무속에 의존했던 이유
24:44 l 👑삼국시대의 종교와 정치적 변화
29:07 l 🏯무속의 위상 축소와 무당의 사회적 지위 하락
33:40 l 🕯️조선시대 무속신앙과 금성당의 역사
39:35 l ⛩️조선시대의 무속과 민속예술의 연관성
41:08 l 🎎한국 미신에 대한 일본의 탄압
43:31 l 🔮오늘날 복구되고 있는 민간신앙
* 방송정보
▶ 한국민속문화의 뿌리 무(巫) / 2015년 06월 03일 YTN사이언스 방영
▶ YTN 홈페이지: https://science.ytn.co.kr/program/view.php?mcd=0033&key=201506021528532420
■ 저작권자(c) YTN 무단전재,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